본문 바로가기

금융지식 레벨업!

유사증자와 무상증자에 뜻과 차이점

반응형

주식용어중 자주 나오는 유상증자와 무상증자에 대해서 알아보고 둘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유사증자란?


유상증자는 투자자가 기업에 출자한 금액을 주식의 액면가나 액면가 이상으로 늘리는 과정을 말한다.

기업이 투자자들에게 주식을 발행할 때, 그것은 각 주식에 액면가나 액면가를 설정한다. 이 값은 주식이 발행될 수 있는 최소 가격을 나타낸다. 다만 투자자들이 회사가 강한 성장 잠재력을 갖고 있다고 판단되면 주식 액면가 이상의 금액을 기꺼이 지불할 수도 있다.

투자자들이 주식의 액면가 이상으로 지불하는 금액을 납입자본금 또는 추가 납입자본금이라고 한다. 이 금액은 회사의 대차대조표에 별도의 계좌로 기록되어 있다.

기업이 납입자본금을 늘리려면 주식 액면가 이상의 가격으로 신주를 발행하면 된다. 이를 통해 추가 자금을 조달할 수 있어 영업 확대나 부채 상환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요약하면 유상증자는 주식 액면가 이상의 가격으로 신주를 발행해 기업의 추가 자금을 조달하고, 투자자로부터 받은 금액을 대차대조표에 추가 유상증자로 기록하는 과정이다.

 

무상증자란?


상여금 문제라고도 하는 무상증자는 기업이 투자자로부터 추가 자금을 조달하지 않고도 주식자본을 늘릴 수 있는 방법이다. 대신 기존 주주들에게 현재 보유 지분에 비례해 신주를 무상으로 발행한다.

예를 들어, 한 회사가 1,000만 주의 미지급 주식을 보유하고 있고 10%의 무상 증자를 발표한다고 가정해 보자. 이는 기존 주주들에게 아무런 청구 없이 100만주를 추가로 발행하겠다는 의미다.

현재 회사 주식 100주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 10주를 무료(100주의 10%)로 추가로 받게 된다. 그러면 총 보유 주식은 110주가 되지만, 현재 더 많은 미결 주식이 있기 때문에 각 개별 주식의 가치는 약간 희석될 것입니다.

무상증자는 기업들이 전통적인 주식 공모를 통해 소유지분을 희석시키지 않고 기존 주주들에게 보상하는 방식으로 볼 수 있다. 거래할 수 있는 주식이 더 많기 때문에 주식의 유동성도 개선할 수 있다.

 

유상증자와 무상증자에 차이는?


유상증자와 무상증자의 주요 차이점은 신주 발행 방식과 기존 주주에게 미치는 영향이다.

유상증자:

권리 발행 또는 주식 공모로도 알려진 유상증자는 기업이 돈을 대가로 투자자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것이다. 기존 주주들이 신주를 할인된 가격에 매입할 수 있는 권리를 갖고 있지만 이에 대한 대가를 치러야 한다는 의미다. 회사는 조달한 자금을 운영 자금 조달, 성장 투자 또는 부채 상환에 사용한다.

유상증자가 기존 주주들에게 미치는 주요 영향은 희석이다. 회사가 신주를 발행하기 때문에 기존 주주들의 소유지분이 비례적으로 줄어든다. 다만 기존 주주들이 공모 참여를 선택할 경우 신주를 할인된 가격에 매입해 상대적 소유지분을 유지할 수 있다.

무상 증자:

무상증자는 기업이 추가 자금을 조달하지 않고 기존 주주들에게 무상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것을 말한다. 기존 주주들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지분에 비례해 신주를 받지만 이를 위해 돈을 낼 필요는 없다는 의미다.

무상증자가 기존 주주들에게 미치는 주요 영향은 유상증자와 유사한 희석효과다. 다만 주주들이 신주에 대한 비용을 부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대적인 소유지분이 줄어들지는 않는다. 대신에, 각 개별 주식의 가치는 현재 더 많은 미지급 주식이 있기 때문에 약간 희석된다.

요약하면, 유상증자와 무상증자의 주된 차이점은 전자는 신주발행을 통해 회사를 위한 신규자금을 조달하는 반면 후자는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두 가지 유형의 증자 모두 기존 주주에게 희석효과가 발생할 수 있지만 무상 증자는 주주가 새로 받은 주식에 대해 지불할 필요가 없다.

 


유상증자와 무상증자에 대한 설명과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