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지식 레벨업!

디플레이션이란

반응형

디플레이션이란 

물가수준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 인플레이션의 반대말

 

2019년 4월 ~ 2020년 6월 생산지물가 상승률 

 

물가가 하락하면 좋을것이라 생각할수 있지만 아니다

경기 침체와 맞물려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상황을 디플레이션이라 부른다

 

국제통화기금은 2년이상 물가 하락이 이어지는 상태를 디플레이션이라 한다

 

디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되면

사람들은 돈를 쓰지 않는다(더 싸질테니 서둘러 사지 않음)

기업은 신규투자를 부동산도 매매를 하지 않는다 가격이 더 내려갈 것이라고 예상하고 계획을 미룬다

돈을 쓰기 보다 가지고 있는 상태가 되어 시중에 돈이 돌지 않아 판매가 위축되고 기업들은 투자와 고용을 줄인다

근로자의 임금이 오르지 않고, 실업자는 늘어난다

이런 패턴이 반복되며 가계소득이 떨어지고 소비 침체를 부추기는 악숙환이 된다

 

빚을 낸 사람들도 부담이 커진다

부동산과 주식을 투자한 사람들이 팔기시작하면 실물경제는 더 깊은 침체의 빠진다

 

경제전문가들은 인플레이션보다 디플레이션이 더 위험하다고 말한다.

 

 

한은 총재 "물가 당분간 낮겠지만 디플레이션 가능성 작다"

"부동산 등 자산가격 상승 우려…완화적 통화정책은 유지해야"

"올해 -0.2% 성장률 시나리오 수정할 상황 아니다"

 

기사원문: https://www.yna.co.kr/view/AKR20200625117400002?input=1195m

 

한은 총재 "물가 당분간 낮겠지만 디플레이션 가능성 작다" | 연합뉴스

한은 총재 "물가 당분간 낮겠지만 디플레이션 가능성 작다", 신호경기자, 경제뉴스 (송고시간 2020-06-25 15:00)

www.yna.co.kr

 

반응형

'금융지식 레벨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모주  (0) 2020.08.27
콜시장 과 콜금리 그리고 기준금리  (0) 2020.08.26
본예산 그리고 추가경정예산(추경)  (0) 2020.08.24
스테그플레이션  (0) 2020.08.21
인플레이션이란  (0) 2020.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