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지식 레벨업!

스테그플레이션 스테그플레이션이란? 경기가 계속 침체되는 상황속에 물가가 계속 오르는것 경기가 좋지 않아 생산활동이 위축되고 실업률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물가가 뛰는 경우 스테그플레이션은 경기 침체 와 물가상승을 합친 말이다 원유가격 급등 -> 기업 가격인상 -> 소비활동위축 -> 투자와 고용이 줄어듬 -> 도산 1,2차 오일 쇼크가 세계 경제를 덮친 1970년대에 처음 등장했다 원유 가격이 급등하자 기업들은 늘어난 생산비용을 가격 인상으로 만회하려 했지만 급등하는 물가에 놀란 소비자들은 물건을 구입하지 않게되고 기업은 투자와 고요을 줄여야 했고 일부는 수익성 악화를 견디지 못하고 도산하기도 한다. 경기는 엉망인데 물가는 고공해진을하게 된다 스테그플레이션이 무서운 이유는 정부가 할 수 있는 일이 없다는 것이다 돈을 풀면 .. 더보기
디플레이션이란 디플레이션이란 물가수준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 인플레이션의 반대말 물가가 하락하면 좋을것이라 생각할수 있지만 아니다 경기 침체와 맞물려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상황을 디플레이션이라 부른다 국제통화기금은 2년이상 물가 하락이 이어지는 상태를 디플레이션이라 한다 디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되면 사람들은 돈를 쓰지 않는다(더 싸질테니 서둘러 사지 않음) 기업은 신규투자를 부동산도 매매를 하지 않는다 가격이 더 내려갈 것이라고 예상하고 계획을 미룬다 돈을 쓰기 보다 가지고 있는 상태가 되어 시중에 돈이 돌지 않아 판매가 위축되고 기업들은 투자와 고용을 줄인다 근로자의 임금이 오르지 않고, 실업자는 늘어난다 이런 패턴이 반복되며 가계소득이 떨어지고 소비 침체를 부추기는 악숙환이 된다 빚을 낸 사람들도 부담이 .. 더보기
인플레이션이란 " 인플레이션(물가상승) 물가가 오르고 돈의 가치는 떨어지는 것 물가상승은 경제 성장의 과정에서 자연스레 따라오는 측면(예: 자장면 값, 연필, 노트 값 상승등) 인플레이션은 두가지 측면이 있음 1. 수요견인 - 경기과열 예: 물건를 10를 사려는데 5개밖에 없어 가격이 오르는 경우 2. 비용견인 - 원자재 가격 상승 예)석유값이 오르면 석유와 관련된 물건에 값이 오름 인플레이션이 상승하면 경제에 불안요인 작용 1. 화폐가치는 하락하고 부동산 등 실물자산 가치는 상승 빚을 진 사람들은 돈의 가치가 떨어져 빚을 갚기 쉬워짐 , 빚을 진 사람들은 어려운 사람들이니 부를 재분배 하는 역할을 하기도 함 2. 물가상승분 만큼 소득이 늘지 않으면 급여나 연금을 받는 사람은 불리해지고 빈익빈부익부 현상이 일어나 사회.. 더보기